내가 수집한 자료를 통계처리 해야 하는데,
그전에 확인할 것들이 있다.
연속자료에 대해 사용해야 할 계산을 범주형 자료에 사용하면 안되겠지?
나의 연구가설을 통계적으로 검정하기전에
두가지를 정리해 보자.
1. 측정시 :
- 자료가 연속형인지 범주형인지 (연산가능한지 빈도만 기술할지)
- 정규분포인지 비대칭분포인지 (정규분포인게 좋지)
- 독립인지 복원추출인지 (t-tests 또는 Anova test때 구분해야 함)
2. 연구 목표 점검:
- 기술이 목적이냐
- 변수간 관계 보이는게 목적이냐
- 집단이나 조건간의 차이를 검정하는게 목적이냐.
기술이 목적이면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빈도 등을 구하는게 목적인거고
변수간 관계를 보이는 게 목적이면 Pearson's r , Spearman;s Rho, Chi-square 등을 한다.
또 집단이나 조건의 차이를 검정하는게 목적이면, T-test를 하거나, Anova, Wilcoxon, Mann-Whitney Whilcoxon, Kruskal-Wallis, Friedman, Chi-sqaure등을 한다.
'제삼취미 >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론 통계에 대한 기본 이해(증명 아닌 유의성 검정) (0) | 2022.11.23 |
---|---|
귀무가설, 대립가설 역할[교육연구] (0) | 2022.11.23 |
정규성 검사의미, 정규분포 (0) | 2022.11.20 |
연속 자료 Continuous Data[교육연구] (0) | 2022.11.20 |
범주형 자료[교육연구] (0) | 2022.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