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잡담/자유칼럼 76

미란 무엇인가?

생각해 볼 화두들 미는 가치개념 감각과 관계되어 있다. 분석 불가능하다. 추적 불가능성의 관점에서 천재성. 단일성 및 고유성의 관점에서 음악이나 조형의 미선과 윤리의 관점에서 미 우아함. 위대함과 내적 아름다음. 고상한 정신이 깃든 것. 고요의 상태. 고양된 상태. 살아 있는 아름다움. 역동적인 에너지와 형식. 비가시적인 미는신성한 것, 수학적인 것, 유토피아 이상성 지향성의 표현, 환상적 세계의 아름다움 및 판타지, 숭고미 자기초월의 욕구 및 도덕성. 기능성과 기술의 아름다움. 형식은 기능을 따르게 된다. 인간은 제 2의 창조자이며 기능과 기술이 뒷받침, 기술의 본질은 혁신의 의지이다. 자연을 개량 보정의 차원. 개념의 측면에서 미의 패러다임. 미의 분석 불가능성, 최상급 찬사의 표현 - 알수 없..

21세기 자연의 섭리와 인간 덕성의 조화로운 발전-전통 동양 문화에서 지혜를 찾다.

미래를 이끄는 동양의 사상자연의 섭리를 따르고인간의 덕성을 지키고 발전시켜야 한다.자연을 정복과 통제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살아있는 생명의 총아로 보면서 인간의 문화를 새로이 발전시켜야한다.과학 기술그리고 디지털 혁명은이미 우리 삶을 깊숙히 파고 들었다.그럴수록 과거를 돌아보며,미래를 위한 길잡이를 찾아야한다.지켜야 할 것, 가꿔야 할 것은 무엇인가?아마도 동양 문화로부터자연을 그것이 형태잡고, 잡아가는 그대로 이해하면서인간도 여기에 조화로움을 보태는그런 정신을 지켜야하지 않을까?

학교모범 _이율곡

학교는 모름지기 인품과 덕을 수양하는 곳.나라의 풍속을 가꾸고 벼슬함에 있어서 기풍을 갖추고 모범이 되야한다.성인, 대인이 되는 길다음은 율곡이이가 정한 규법 16조첫째, 뜻을 세운다.둘째, 학문을 지향하며 몸가짐을 바르게 한다.셋째, 독서. 배움은 넓어야하고 질문은 소상해야 한다.넷째, 말을 삼간다. 목소리는 조용하고 엄숙하며, 믿음직스럽게 한다.다섯째, 마음을 가라앉혀 흐트러짐이 없도록 한다.여섯째, 선비의 행실에 효와 우애는 기본이다.일곱째, 스승을 섬기고 배움에 성의를 다하라.여덟째, 벗을 잘 사귀라.아홉째, 가정에서 윤리를 다하라. 열째, 사람을 대함에 예의를 갖추라. 어른은 섬기고 어린이는 어루만지며, 덕과 학업을 서로 권장하며, 허물은 서로 경계하며 예의와 풍속을 서로 성취시키고 어려운일은 ..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Its Implications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arch 1st MovementThe March 1st Movement (Samiljeol) of 1919 was a pivotal moment in Korea’s struggle for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nspired by President Woodrow Wilson’s principle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the global wave of anti-colonial movements, Korean intellectuals and activists declared their independence through a non-violent, natio..

바둑의 세계관

문화가 다른 두 집단이 있다.이들은 새로운 영토에 함께 터를 잡아 살아갈 것이다.이때 터를 잡는 원칙이 있다.이들은 서로 이웃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문화적 점령이 일어날 수도 있다.한 문화의 사람들이 다른 문화의 사람들에게 둘러싸이면, 그들은 문화적 정체성을 바꿀 수 없기에 죽게 된다.이렇게 각 문화의 사람들이 정착을 끝내면,잠재적 갈등이 사라지고 두 문화는 이웃이 되어 새로운 영토에서 함께 살아갈 수 있다.영토게임의 규칙은 각 문화의 사람들이 한 명씩 번갈아 가면서 터를 잡는 것이다.이것은 조용한 전쟁이다.당신은 당신의 사람들을 얼마나 많이 이 영토에 정착 시킬 수 있는가?

한국의 혁신 지수에 공교육이 기여했다고 생각하는가?

외국에서 흔히한국의 급진적 성장을 한국인의 교육열, 그리고 교육에 대한 국가의 지원에 있었다고들 말한다. 누가 이런 믿음을 퍼뜨렸는지 모르겠지만,놀랍게도 외국에서 한국의 교육이 지금의 혁신을 이끈 주요 원동력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한국의 공교육을 이끈 사람들이 훈장을 받아 마땅하다. 전형적 탑-다운 방식의 사고 방식이다.  어.느.정.도.사실이다.그러나, 그렇다면 다른 나라는 교육열이나 교육에 대한 투자가 없었을까?우리만 유독 뛰어났나?우리 보다 더 높은 교육열을 가진 나라들도 있다고 생각한다.우리 보다 더 좋은 재정적 조건에 있었던 나라들도 많았다고 생각한다.  우리 내부에서도 우리의 성장을 강력한 정권과 리더쉽에 의한 결과로 이해하는 사람들도 있다.이것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그런데 이..

구로다 후쿠미의 노력으로 세워진 위령비(가미카제 탁경현)

요즘 한국에 대한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고 있지만, 오랜 기간 서구권에서는 일본에 대해 좋은 이미지를 품어왔다.  외국에서 친구들이랑 이야기 하다 보면, 한국을 여전히 문화적이나 정신적으로 일본보다 열등했다고 보는 시선들이 많은 걸 경험한다.특히, 세계 대전 추축국이었던 나라권에서는 일본에 대한 친근함의 정도가 매우 높다. (오스트리아, 헝가리, 독일...) 얼마적 아시아 문화에 대해 존중을 표현하던 친구가 있었다. 특히, 일본인의 위대한 정신에 감탄하던 친구가 있었는데, 그 한 예가 가미가제특공대 였다.나라를 위해서 젊음을 그렇게 희생하다니 너무 위대하다.그리고 그 친구의 찐친은 일본인이었다.  내가 많은 조선인이 가미가제 특공대로 희생되었다고 했더니, 진짜? 이정도... 반응... 부정을 하지도 않지만..

부모가 자식을 간섭 하는 이유

부모는 자기 자식이 천재에 훌륭한 품성을 타고 났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그런데도 왜모순적으로 어리석다고도 생각하면서사소한 것까지도 간섭할까?자녀의 삶과 일상에 너무 지나치게 개입하다 보니 싸우고 서로 상처입고왜 알면서도 자제를 못하고 사사건건 간섭할까?자식을 돕기위한부모의 선택지는 두가지1. 자식을 믿고 시행착오를 하면서 스스로 성장할때까지 기다려 준다.2. 어리석다고 전제하고 간섭한다.사실상 모든 부모는 3을 선택한다.3. 1과 2의 균형점을 찾기. 그런데 쉽지 않다.아래 링크의 동영상을 보면자식 보호를 위해서 부모가 사사건건 간섭해야 할 것 같다.애가 죽을 뻔했다.자식에 따라 다르고, 부모의 불안증에 따라 다르겠지만,자식을어리석다고 전제하고 간섭해야자녀를 보호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부모는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