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임 파인땡큐는 몇초? I am fine thank you 를 말하려면 몇초가 필요한가? 조 바이든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과의 환담자리에 대하여, 여측은 48초라 주장 야측은 통역빼면 24초, 양측 12초씩 발언했다 가정하면 12초 발언 주장. 결국, 오다가다 만나 인사한 것 가지고 환담이라고 하기 있기 없기 라는 상황임. 그렇다면 12초동안 I am fine thank you 는 몇 번 말할수 있을까? 쓸데없는 실험을 해보았다. 실헐결과 다섯번 일상잡담/자유칼럼 2022.09.23
답장주면 낚인거다[스팸] 모르는 번호로부터 문자가 왔다. 문자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나에 대한 그들이 가정한 정보는? 답장 하나 했을 뿐인데 대답해 버린 답들... 답장을 하면, 자식이 있는 사람인거고, 그 사람이 자식과 함께 있지 않다는거고, 자식이 엄마에게 반말을 하는 관계라는 뜻이고, 자식이 스스로 헨펀을 수리 맡길 정도의 나이라는 뜻이고, 난 여자라는 뜻이고, 자식을 걱정하는 사람이란 뜻이고, 여러 전제가 깔린 문자인데, 답장을 했다는 뜻은 위 정보가 참임을 보여주는 셈이다. 다행히 나에게 위 문자는 참이 아니기 때문에 걸를수 있었지만, 답장을 해버린 후 스팸임을 깨닫는 부모도 있을거다. 혹시 모르니까, 스팸인지 확인하기 위해서 대화를 나누는 부모도 있을거고 스팸 범죄 강하게 처벌했으면 좋겠다. 살다살다 나한테 이런 .. 일상잡담/자유칼럼 2022.09.15
인생을 즐기면서 자연을 훼손 하는 법1 주변 지도를 살펴보다가 주변의 산천이 골프장으로 변신하는 광경을 목격하게 된다. 우리나라에도 골프 문화 확산을 위한 여건이 참으로 좋아지고 있구나. 일상잡담/자유칼럼 2022.08.17
거절의 바디랭귀지 영상 감상 상대적으로 좋은 인품을 가졌다고 생각했는데, 어쩌면 나는 그러지 못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동영상을 보며 배웠다. 거절의 예의 내 과거를 돌아 봤을 때, 난 기본적인 예의도 없었던 것 같다. 지금까지 나는 나를 오해하고 있었던 것 같다. 아래 링크는 거절의 바디랭귀지에 대한 영상이다. https://youtu.be/0mci7spBVHs 일상잡담/자유칼럼 2022.05.19
교실 사건 - 작도 시간 가해자도 없고 피해자도 없는 교실 싸움??? 싸울뻔 한 것은 싸운 것인가? 때릴 뻔 한 것은 때린 것인가? 놀림은 일어나버린 사건이고, 때림은 일어날 뻔 한 사건이라면, 누가 잘 못한 것인가? 놀림이 일어나게 만난 환경을 방치한 사건도 사건인가? 놀림이 놀림이 아니었다면 어떻게 되는 것인가? 놀림과 장난의 경계는 어디인가? 서로 의견이 다를 때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인간에 대한 이 모든 디테일한 이해는 정말 어렵다. 십여년 전 수업 중 일어난 사건을 적어보려 한다. 수업 하다 보면, 아이들간 싸움이 일어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때, 이 싸움을 예방 할 수 있으면 더 좋았겠지만, 초짜 선생인 나로써는 그러지 못했다. 부족한 기억을 적어보려 한다. 작도 수업이었고, 교실에 8명 정도 초등 저학년 수학 영재.. 일상잡담/자유칼럼 2022.03.22
먹기위해 산다는 것 어릴 적 아버지가 물었었다. '살기 위해 먹을 테냐? 먹기 위해 살 테냐?' 내가 뭐라고 대답했는지는 기억이 안 난다. 어쩌면 아무 대답을 안 했을지도... 아버지는 "살기 위해 먹어야 할 것 같으냐? 그렇지 않다. 먹기 위해 살아야 하지 않을까?"라고 말씀하셨다. 아무거나 먹도록 내 삶을 방치해선 안 된다. 단지 살게 한다는 이유로 죄를 먹고, 추한 것을 먹어서는 안된다. 좋은 가치를 추구하기 위해 우리는 살아야 한다. 아버지의 '먹기 위해서 산다'는 그런 의미셨다. 어떤 상황에서도 나의 자존심과 존귀함을 지키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말씀해 주셨다. 한참이 흘렀다. 같은 맥락으로 나도 질문을 던진다. 나에게... 너는... 목표 때문에 달리는 거니? 달리기 위해 목표를 정하는 거니? 어느 순간 드는 생각.. 일상잡담/자유칼럼 2016.09.07
19세기에 형성된 공교육 이대로 좋을까? 지금의 공교육은 19세기 대량 생산 체제의 사회적 요구에 맞춰 형성되었다. 앨빈토플러의 말처럼 우리의 공교육은 지금의 사회적 요구에 맞지도 않는데 아이들은 불필하게 많은 시간을 학원과 학교에서 보내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1. 교육은 고대로부터 훑어보아도 근복적으로 개별교육.. 일상잡담/자유칼럼 2016.08.27
학생의 승부욕은 절제시켜야 하나? 장려시켜야 하나? 학생이 승부욕을 가지는 것은 장려해야 할까? 지양해야 할까? 1. '호박벌 이야기' 를 아는가? 호박벌은 몸집에 비해서 날개가 너무 작기 때문에 역학적으로는 떠있기도 불가능한 신체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도 세상에서 가장 부지런한 놈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 .. 일상잡담/자유칼럼 2016.01.20
암기와 주입식 교육에 대하여 지금은 작고하신 김안중 교수님의 수업을 들으면서 신선한 깨달음을 얻은 기억이 있어 잠깐 적고 싶다. 내 지식이 짧아 그때 언급된 학자의 이름은 기억나지 않는다. 그런데 요약하자면, 주입식 교육이 있는 것이 아니라 주입식 학습이 있다. 였다. 즉, 교사가 주입식, 암기식으로 가르쳐.. 일상잡담/자유칼럼 2016.01.17